고혈압 기준 수치, 언제부터 위험한가요? 수축기·이완기 차이와 연령별 정상 혈압
고혈압은 수축기 혈압이 140 이상, 이완기 혈압이 90 이상일 때 진단되며 연령과 관계없이 건강 관리가 매우 중요합니다. 이 글에서는 고혈압 기준 수치, 수축기·이완기 차이, 연령별 정상 혈압, 자가진단 체크리스트, 그리고 1주일 식단표까지 한눈에 정리해 드립니다. 💓
📚 목차
📌 고혈압 기준 수치란?
고혈압은 대한고혈압학회 및 WHO 기준에 따라 아래와 같이 분류됩니다:
- ✅ 정상 혈압: 수축기 120 미만, 이완기 80 미만
- ⚠️ 고혈압 전단계: 수축기 120~139 또는 이완기 80~89
- ❗ 고혈압 1기: 수축기 140~159 또는 이완기 90~99
- 🚨 고혈압 2기: 수축기 160 이상 또는 이완기 100 이상
⚠ 수축기나 이완기 둘 중 하나만 높아도 고혈압입니다.
🔍 수축기 vs 이완기 혈압 차이
혈압은 심장이 수축하거나 이완할 때 혈관에 가해지는 압력입니다.
- 💥 수축기 혈압: 심장이 수축하며 혈액을 내보낼 때 압력 (첫 번째 숫자)
- 💤 이완기 혈압: 심장이 이완하고 쉴 때의 압력 (두 번째 숫자)
예: 140/90mmHg = 수축기 140, 이완기 90 → 둘 중 하나만 높아도 고혈압 진단 가능
📊 연령대별 정상 혈압 수치
연령대 | 정상 수축기 | 정상 이완기 |
---|---|---|
20~29세 | 110~120 | 70~80 |
30~39세 | 115~125 | 75~85 |
40~49세 | 120~130 | 80~85 |
50~59세 | 125~135 | 80~89 |
60세 이상 | 130~140 | 80~90 |
📌 참고: 연령과 관계없이 수축기 140 이상, 이완기 90 이상이면 고혈압입니다.
🚨 언제부터 위험한가요?
- 🔺 아침에 135/85 이상이 반복 측정될 때
- 🔺 140/90 이상 수치가 지속될 때
- 🔺 두통, 어지러움, 숨참, 가슴 통증 동반 시
고혈압은 증상이 없더라도 심장질환, 뇌졸중, 신장질환의 원인이 되므로 반드시 관리가 필요합니다.
📝 고혈압 자가진단 체크리스트
다음 항목 중 3개 이상에 해당된다면 고혈압을 의심해보고, 정확한 진단을 위해 병원을 방문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.
- ✅ 아침에 혈압을 쟀을 때 135/85 이상인 경우가 잦다
- ✅ 수축기 140 또는 이완기 90 이상이 자주 나온다
- ✅ 두통, 어지러움, 뒷목 뻐근함을 자주 느낀다
- ✅ 가슴이 두근거리거나 숨이 찬 증상이 있다
- ✅ 술을 자주 마시고 짠 음식을 즐긴다
- ✅ 가족 중에 고혈압 진단을 받은 사람이 있다
- ✅ 체중이 늘었고 운동량이 줄었다
- ✅ 1년에 한 번도 혈압을 재본 적이 없다
🔍 체크 항목이 많을수록 고혈압 위험도가 높습니다. 혈압은 ‘조용한 살인자’라고 불릴 만큼 자각 증상이 적기 때문에, 정기적인 측정과 조기 진단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.
🥗 고혈압을 위한 1주일 식단표
다음은 나트륨을 줄이고 혈압을 안정시키는 데 도움이 되는 저염 식단 예시입니다.
요일 | 아침 | 점심 | 저녁 |
---|---|---|---|
월 | 현미밥, 계란찜, 오이무침 | 귀리밥, 두부조림, 된장국 | 보리밥, 닭가슴살구이, 쌈채소 |
화 | 통밀토스트, 삶은계란, 키위 | 현미밥, 고등어구이, 미역국 | 잡곡밥, 청경채나물, 삶은 감자 |
수 | 두유, 삶은 고구마, 브로콜리 | 현미밥, 닭볶음탕(국물적게) | 보리밥, 두부부침, 오이무침 |
목 | 귀리죽, 삶은계란, 토마토 | 잡곡밥, 연어구이, 시금치무침 | 현미밥, 애호박볶음, 된장국 |
금 | 통밀빵, 무가당 요거트 | 현미밥, 멸치볶음, 무나물 | 보리밥, 닭가슴살샐러드, 단호박 |
토 | 삶은 달걀, 바나나, 두유 | 잡곡밥, 소고기무국, 상추겉절이 | 현미밥, 생선찜, 가지나물 |
일 | 귀리밥, 나물반찬, 김구이 | 현미밥, 된장국, 두부김치 | 보리밥, 샐러드, 과일 1종 |
⚠️ 국물류, 절임류, 가공식품 섭취는 최소화하고, 채소와 과일, 단백질을 균형 있게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.
🩺 고혈압 관리가 중요한 이유
고혈압은 완치보다는 평생 관리가 중요한 만성질환입니다. 다음과 같은 습관을 통해 혈압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습니다.
- 🥗 나트륨 줄이기
- 🚶 규칙적인 유산소 운동
- 📉 체중 감량과 금연
- 🧘 스트레스 해소와 수면 확보
📌 주의사항
이 글은 건강정보 제공을 위한 일반적인 안내이며, 개인의 건강 상태에 따라 반드시 의료진의 진료와 상담이 필요합니다.
아침 공복 유산소 vs 저녁 유산소, 언제 해야 더 살 빠질까?
아침 공복 유산소 vs 저녁 유산소, 언제 해야 더 살 빠질까?
아침 공복 유산소 vs 저녁 유산소, 언제 해야 더 살 빠질까?다이어트를 시작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이 바로 유산소 운동입니다. 특히 언제 운동을 하느냐에 따라 지방 연소 효과가 달라질 수
googlehong.tistory.com
'질환별 증상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간혈관종, 괜찮을까요? 증상부터 진단까지 완전 정리 (0) | 2025.05.21 |
---|---|
지방간 수치, 어느 정도면 위험할까요? (0) | 2025.05.21 |
지방간 증상과 치료법, 방치하면 어떻게 될까? (0) | 2025.05.20 |
사람 앞에 서는 게 두려운 당신, 사회불안장애를 이해하고 극복하는 길 (0) | 2025.05.19 |
공황장애 초기증상, 자가진단부터 치료까지 한눈에 정리 (0) | 2025.05.11 |